매실잎에 발생하는 녹병으로 잎에 변형이 발생되어 '매실변엽병'이라 한다.
매실나무의 잎과 열매에 병반 생기며 한번 발병하면 치료할수 없는 무서운 암같은 병이다.
5월초 매실이 비대하는 시기에 매실잎사귀가 이상한 모양으로 자란다.
증상이 심하면 매실 수확은 포기 해야겠지만 부분적으로 생기기에 병반이 발생된 부위를 제거하여 추가 피해를 없애준다.
1) 피해 및 진단
- 꽃이 필무렵부터 발생하며 5월~6월 경 피해 잎이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 처음에는 잎이 두터워지며 가늘어지고 잎맥이 뒤틀려서 기형이 된다.
- 그후 여러 모양으로 부풀며 등황색의 분말(녹포자)이 비산하여 눈은 전부 병변 고사한다.
- 발병조건은 주로 산간지에 발생이 많은 경향이다.
유사한 두릅나무녹병의 경우
인근의 사초에서 기주전환이 된다는 논문이 있으나 매실나무변엽병에 대한 중간기주에 관한 연구 내용은 부족한 편이다.
2) 방제법
- 피해 가지에 발생한 피해엽은 다량의 녹포자를 비산 시키므로 등황색의 녹포자 비산전에 잘라서 소각처리 한다.
- 변엽병은 약제에 의한 방제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병이기에 담포자 형태의 녹병을 감안하여 진균 계통의 병에 대한 등록약제로 방제법을 권함.
※ 예방차원의 관리는 생육 초기기에는 오갈병, 흑성병, 흰가루병 깍지벌레, 나방류 겸하여
- 개화전 : 델란+빅카드+애니충
- 꽃진 후 : 아리농용신+살림꾼+모스피란 살포하면 된다.
- 낙엽기에 :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하고 해동후 동계약제인 유황합제를 살포하는 등 예방위주로 관리 한다.
[출처] 매실변엽병( caeoma makinoi kusano )|작성자 친환경과학농법
'경이로운 지식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뜸요법-허리디스크 (0) | 2020.01.12 |
---|---|
대추홍보동영상 (0) | 2019.08.04 |
침향 (0) | 2019.05.01 |
전선의 굵기선정을 위한, SQ산정등 일괄표 (0) | 2019.04.28 |
이유없는 복통 없다…위치 따라 원인질병 30가지 (0) | 2019.01.04 |